이비인후과 질환

[귀] 격렬한 운동 후 귓바퀴에 생긴 종창: 이개혈종의 치료, 양배추 귀 예방법

이비인후과 의사가 전하는 이비인후과 질환 2025. 4. 7. 18:51
반응형

이개혈종(Otohematoma)이란?

 스포츠 중계 중 레슬링, 복싱, 유도 선수의 귀 형태가 특징적으로 변해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귓바퀴의 연골을 덮고 있는 연골막에는 다양한 분지의 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손상될 시 연골막 아래에 혈액이 고일 수 있는데, 연골막하 공간에 생긴 혈종을 이개혈종이라고 합니다. '양배추 귀' 변형을 유발하는 이개혈종의 원인, 전형적인 증상과 감별질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개혈종의 원인

 반복되는 마찰, 압박과 같은 물리적인 외상으로 귀 연골막 아래에서 혈관 손상이 생기면 연골막하 공간에 피고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발생 기전입니다. 주로 레슬링, 복싱, 유도 등 운동선수에서 격렬하게 신체 접촉이 일어나는 도중 귓바퀴 외상이 누적되면서 이개혈종이 생기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잦은 헬멧 착용 등 문지름 압박 손상이 가해지는 유발 요인이 있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이개혈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개혈종의 증상

 이개혈종은 아래 사진처럼 귓바퀴에 국소적인 종창이 생기는 것이 주된 증상입니다. 초기에는 열감이나 동통을 동반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촉진 시 부드러웠던 혈종 부위가 단단해지고 컬리플라워 형태로 변형되는 '양배추 귀' 모양으로 변하곤 합니다. 혈종에 의해 연골막이 장시간 압박되면 혈류공급이 차단되어 괴사 또는 염증반응이 동반되기 쉽습니다. 

이개혈종의 임상 양상

이개혈종의 진단

 환자의 증상, 발생 시기에 대한 병력과 병변에 대한 이학적 검진을 통해 이개혈종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외상이 있었는지의 유무가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되며, 종창이 생긴 해부학적 위치와 병변 모양, 촉진 양상 등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피부 발적이나 압통 등 감염 의심 소견을 함께 평가하여 연골막염 동반여부와 연골괴사의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이개혈종의 감별질환

 귓바퀴의 피부 종창을 유발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한 질환으로는 피지 낭종과 같은 낭종성 병변이 있습니다. 병변의 위치와 외상력으로 비교적 쉽게 감별할 수 있습니다. 낭종성 병변에 동반한 이차적인 감염 여부를 평가하여 항생제 치료 후 근본적인 병변 절제를 고려하게 됩니다.

 피어싱 착용과 비위생적인 피어싱 관리가 원인으로 작용하는 이개의 감염성, 염증성 질환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연골염 또는 연골막염은 초기 이개혈종과 유사한 소견을 보일 수 있어 감별을 요하며 이개혈종과 마찬가지로 연골 괴사와 같은 합병증 가능성 때문에 적극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귀이개의 화상이나 동상, 외상성 귓바퀴 손상 이후의 상처 치유 과정에서 콜라겐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켈로이드도 이개혈종과 감별을 요하는 이개의 비열상 손상 질환입니다. 병변의 양상, 임상 증상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감별진단 후 원인 기전에 따른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켈로이드의 경우, 콜라겐 생성이 활발한 진피층에 2주 간격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를 반복하는 것이 표준 치료입니다. 

이개혈종의 치료

 이개혈종은 염증이나 괴사 등 합병증이 생기기 전에 흡인천자 또는 절개 배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기가 작거나 병변이 생긴 지 수시간 이내(통상 6시간)로 조기 병변일 경우, 멸균 소독된 환경에서 주사기 흡인으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병변이 2주 이상 경과되었거나 광범위한 크기가 큰 혈종이라면 이륜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선을 넣고 연골막하 공간의 혈종을 배액하며 생리식염수 세척을 함께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혈종의 배액 이후에는 처치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압박 드레싱을 시행하는데, 이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 치료입니다. 연골막 아래에 빈 공간이 생김으로 인해 혈액 누출이 생기는 기전을 막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말단부에 위치하는 귓바퀴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볼스터, 덴탈롤, 열가소성 스플린트 등의 처치재료를 이용해 흡인 또는 절개 부위를 잘 압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비인후과적 전문관리(드레싱)가 중요합니다.

 보조 요법으로 만성 이개혈종의 염증 완화에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반복 활용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수술적인 절개 배액 및 장기간의 압박 드레싱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전문의와의 상의 후 치료 방향을 결정하여야겠습니다. 특히 이차 감염이나 연골막염을 동반한 이개혈종의 경우, 초기에 약물치료와 적극적인 처치를 받으시는 것이 연골 괴사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 방지 및 이개의 형태와 기능 회복에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